logo
소식

회사 소식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제가 지금 온라인 채팅 해요
회사 소식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2006년, 고전 PRRSV에서 파생된 HP-PRRSV 균주는 고열, 이환율, 사망률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에서 유행을 일으켰습니다. 이후 이 균주는 중국과 아시아 전역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었고, 상당한 돌연변이를 겪었습니다. HP-PRRSV와 그 변종은 중국에서 지배적인 균주가 되었지만, 새로운 L8.7 PRRSV의 역학, 분자 진화 및 병원성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2025년 5월 22일, Taylor & Francis에 게재된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유전자 진화 및 병원성 변이"라는 제목의 연구는 L8.7 계통의 역학적 동태, 진화적 경향, 백신 균주 연관성 및 병원성 진화를 체계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는 L8.7 PRRSV 예방 및 관리 전략 개발에 핵심적인 데이터 지원을 제공합니다.

초록

2,509개의 글로벌 L8.7 ORF5 유전자 서열 분석을 기반으로, L8.7 계통은 7개의 그룹(L8.7.1-L8.7.7)으로 나뉘었습니다. L8.7.1-L8.7.3은 각각 보고된 고전 PRRSV, 중간 균주 및 HP-PRRSV에 해당하며, L8.7.4-L8.7.7은 HP-유사 PRRSV로 정의됩니다.

통계 분석 결과, HP-유사 PRRSV가 L8.7 계통 내에서 우세했으며, L8.7.5 및 L8.7.6 균주는 최근 몇 년 동안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포괄적인 전체 게놈 분석 결과, L8.7 균주의 72.15%가 야생형 특성을 나타냈습니다.
진화율 분석 결과, 중국에서 L8.7.3-L8.7.7 계통의 진화율은 약독화된 HP-PRRSV 백신(MLV) 도입 이후 약 4.1배 감소했습니다.

병원성 검사 결과, HP-PRRSV(L8.7.3: HuN4)에 비해 HP-PRRSV 유사 균주(L8.7.5: DLF; L8.7.6: DLW)는 높은 독성을 유지하면서도 새끼 돼지에서 병원성이 감소했습니다.

# 그림 초록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0


실험 결과

# L8.7 PRRSV 분류

PRRSV L8.7의 진화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2509개의 ORF5 서열을 분석했습니다. NCBI 데이터베이스에서 2159개의 L8.7 균주 서열을 얻었고, 2014년에서 2023년 사이에 본 연구실에서 350개의 서열을 수집했습니다(그림 1(a)). 그림에서 보듯이, L8.7 균주는 7개의 그룹(L8.7.1–8.7.7)으로 더 세분화되었습니다(그림 1(a, b)). 모든 서열 정보는 이용 가능합니다(그림 2).

그림 1(b)에서 보듯이, 계통 발생 트리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 참조 균주는 알려진 고전 균주와 병원성 연구에서 보고된 L8.7 PRRSV 균주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룹 내 및 그룹 간 평균 유전적 거리는 그림 1(c)에 나와 있습니다. L8.7.2를 제외하고, 모든 그룹 내 평균 유전적 거리는 5% 미만이었습니다. 전반적으로, 그룹 간 유전적 거리는 4.3%에서 10.4% 범위였습니다. 또한, L8.7.4-L.7.7 균주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특정 아미노산 돌연변이 패턴을 나타냈으며, HP-PRRSV 유사 균주로 정의되었습니다. L8.7 집단의 2509개 서열 중, 2.23%(56/2509)는 L8.7.1(CH-1a 유사 PRRSV), 4.74%(119/2509)는 L8.7.2(중간 PRRSV), 11.48%(288/2509)는 L8.7.3(HP-PRRSV), 81.54%(2046/2509)는 HP-PRRSV 유사 균주에 속했습니다.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1

그림 1 L8.7 균주의 계통 발생 트리 및 뉴클레오티드 동일성 분석

(a) L8.7 서열을 7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계통 발생 트리. (b) L8.7 PRRSV 분리주 및 각 계통의 참조 PRRSV 균주의 ORF5 유전자를 기반으로 구성된 계통 발생 트리.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 균주는 노란색 별표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c) L8.7 균주 그룹 내 및 그룹 간 유전적 거리(뉴클레오티드 차이의 백분율).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2

그림 2 PRRSV L8.7.1-L8.7.7의 병원성 비교 분석

# PRRSV L8.7의 전 세계 분포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및 지리적 정보가 알려진 L8.7 서열을 종합적으로 분석했습니다. 특히, L8.7.4 그룹은 L8.7 균주가 발견된 9개 국가 중 8개 국가를 포함하여 가장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그림 3(a, b)). 네팔, 라오스, 미얀마에서는 L8.7.4 그룹만 단독으로 검출되었으며, 다른 그룹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L8.7.1, 8.7.3, 8.7.5, 8.7.6 및 8.7.7 균주는 각각 2개, 3개, 4개, 4개 및 2개 국가에서 발견되었습니다(그림 3(a, b)). L8.7.2 균주는 중국에서만 보고되었습니다(그림 3(b)). 중국의 L8.7 PRRSV 균주의 수(2201/2509, 87.7%)와 다양성(7/7 그룹, 100%)은 1위를 차지했습니다(그림 3(b)).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3

그림 3 (a) 전 세계 여러 지역의 L8.7 균주 지리적 분포. 그림 3 (b) L8.7 균주의 국가별 분포.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2,201개의 L8.7 PRRSV 균주를 분석했습니다. L8.7 PRRSV 감염은 중국 26개 성에서 보고되었으며, 광둥성이 가장 많은 사례를 보고했고, 그 다음으로 광시, 헤이룽장, 산둥, 허베이, 허난이 각각 40건 이상 보고되었습니다(그림 3(c, d)). 중국에서 서로 다른 PRRSV 그룹의 유병률은 시간적 역학을 나타내며(그림 3(e)), 특정 그룹에서 뚜렷한 유병률 정점을 보입니다. L8.7.1 및 L8.7.2 그룹은 매우 낮은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2006년 이후 거의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2006년에 발생한 발병 이후 L8.7.3 그룹은 지배적이 되었고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4

그림 3(c) 중국 여러 지역의 L8.7 균주 지리적 분포. 그림 3(d) 중국 여러 성의 L8.7 균주 인구 분포.

HP-유사 PRRSV(L8.7.4-8.7.7)는 중국에서 지배적인 순환 균주로 HP-PRRSV를 점차 대체했습니다(그림 3(e)). L8.7.4 그룹은 2006년에 중국에서 처음 보고되고 모니터링되었으며, 2009년에서 2011년 사이에 중국 L8.7 균주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습니다(41.3%-79.6%). 특히, 일부 그룹은 유병률이 갑자기 증가했습니다. 예를 들어, 2007년에 중국에서 처음 나타나 지속적으로 순환해 온 L8.7.5 그룹은 2011년 이후 유병률이 크게 증가했습니다(17.1%-51.6%)(그림 3(f)). L8.7.6 균주의 주기적 특성 또한 주목할 만합니다. 이 그룹(EU709835.1, SH02)은 2002년에 처음 확인되었습니다. 처음에는 검출률이 극히 낮았고(단 하나의 균주), 2003년에서 2005년 사이에는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2006년에 급증한 후, 유병률은 2009년까지 점차 감소했습니다. 이후 2014년에서 2023년 사이에 지배적인 균주가 되었으며, 21.5%에서 47.1%를 차지했습니다. L8.7.6 그룹은 중국에서 가장 자주 검출되었고(612/2201, 27.8%) 가장 넓은 분포를 보였습니다(20/21개 성, 95.2%)(그림 3(d, f)). L8.7.7 그룹은 2008년에 처음 검출되었지만, 2011년까지 유병률이 낮게 유지되었고, 이후 점차 증가했습니다. 검출률은 2022년에서 2023년 사이에 15.1%에서 17.1%로 급증했습니다.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5

그림 3 (e) ORF5 서열을 기반으로 한 L8.7 균주의 시간 경과에 따른 분포. 그림 3 (f) 중국 전역의 상대 빈도 스택 막대 차트.

이러한 결과는 지난 10년 동안 L8.7.5 및 L8.7.6 균주가 가장 풍부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가장 널리 분포되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HP-PRRSV MLV와 HP-PRRSV의 관계
HP-PRRSV 약독화 백신(JXA1-R, HuN4-F112, TJM-F92, GDr180)과 HP-PRRSV 유사 균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뉴클레오티드 동일성, NSP2 결손 시그니처 및 전체 게놈 특성 아미노산 변화를 기반으로 L8.7.4–8.7.7 계통의 균주를 종합적으로 분석했습니다(표 1).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6

표 1 HP-PRRSV 약독화 백신(MLV)과 HP-PRRSV 유사 균주 간의 전체 게놈 연관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백신 유사 PRRSV와 HP-PRRSV 유사 균주를 구별하는 핵심은 전체 게놈 뉴클레오티드 동일성 또는 특성 아미노산 변화가 아니라 추가 NSP2 결손의 존재 여부로 결정될 수 있습니다(표 1). 통계 분석 결과, L8.7.6 계통 균주의 27.85%(22/79)가 백신과 연관되었습니다.

새끼 돼지에서 HP-PRRSV 및 HP-PRRSV 유사 균주의 병원성

# 지배적인 HP-PRRSV 유사 균주의 분리 및 확인

지배적인 HP-PRRSV 유사 균주(L8.7.5 및 L8.7.6)의 병원성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L8.7.5 계통 균주 DLF와 L8.7.6 계통 균주 DLW를 성공적으로 분리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돼지 폐포 대식세포(PAM)와 Marc-145 세포에서 분리되었습니다. IFA 분석 결과, PRRSV M 단백질 발현이 균주로 접종된 PAM 및 Marc-145 세포에서 관찰되어(그림 4(a)), DLF 및 DLW 균주가 성공적으로 분리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7

그림 4 L8.7 균주의 분리, 배양, 재조합 분석 및 특성 NSP2 아미노산 정렬

(a) DLW 및 DLF 균주의 확인. PRRSV M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사용한 면역형광 분석(IFA)은 대조군, DLF 감염군, DLW 감염군 및 HuN4 감염군에서 PAM 및 Marc-145 세포에서 특이적 반응성을 나타냈습니다. 세포 핵은 DAPI로 대조 염색되었습니다. 스케일 바 = 300 μm. (b) DLW의 재조합 이벤트 분석. (c) L8.7 균주의 NSP2 단백질의 추정 아미노산 서열 정렬.

# DLF 및 DLW의 게놈 특성

DLF(PQ178809) 및 DLW(PQ178810)의 전체 게놈 길이는 각각 15,324 및 15,323 뉴클레오티드입니다(poly(A) 꼬리 제외). HuN4/DLF, HuN4/DLW 및 DLF/DLW 간의 게놈 뉴클레오티드 유사성은 각각 98.67%, 95.78% 및 95.13%였습니다(아래 표 참조).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8


NSP2 단백질의 서열 정렬 결과, DLF 및 DLW는 CH-1a 균주 NSP2 단백질의 482번 및 533-561번 위치에서 30개의 아미노산(1 + 29개의 아미노산)의 불연속 결손을 나타냈습니다. 이 결손 패턴은 L8.7.3(HP-PRRSV)의 패턴과 일치합니다(그림 4(c)). DLF 및 DLW가 재조합 이벤트에 관여했는지 조사하기 위해, SimPlot 및 RDP4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분석 결과, DLW는 재조합 이벤트를 겪었고(재조합 부위는 nt 3500-5657에 걸쳐 있음), DLW는 그렇지 않았습니다(그림 4(b)). 이전 연구와 본 연구에서 백신 균주와 야생형 균주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 기준을 바탕으로, DLF와 DLW는 모두 야생형 균주였습니다.

# 감염된 새끼 돼지의 임상 증상
도전된 새끼 돼지는 7일마다 체중을 측정했으며, 0, 3, 5, 7, 10, 14 및 21일마다 혈액 샘플을 채취했습니다. 실험 절차는 그림 5(a)에 나와 있습니다.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9


그림 5(a) 실험 설계

HuN4 및 DLF 도전군에서 새끼 돼지는 노출 후 2일 이내에 뚜렷한 임상 증상(기침, 무기력, 소화 불량 및 오한)을 보였습니다. DLW 도전군에서 새끼 돼지는 노출 후 3일 이내에 PRRSV 감염의 전형적인 임상 증상을 보였으며, 감염된 돼지 5마리 중 3마리가 기침, 무기력, 소화 불량 및 떨림을 경험했습니다. HuN4 도전군에서 새끼 돼지는 4–6일 동안 고열(≥40.5°C)을 유지했고(그림 5(b)), 노출 후 12일 이내에 사망하기 시작했습니다. 생존율은 노출 후 21일 이내에 20%였습니다(그림 5(c)). DLF 도전군에서 새끼 돼지는 노출 후 16일 이내에 사망하기 시작했으며, 노출 후 21일 이내에 생존율은 60%였습니다(그림 5(c)). 사망률은 낮았지만, 이 그룹의 발열 기간은 더 길었습니다(7–15일)(그림 5(b)). DLW 도전군에서 새끼 돼지는 실험이 끝날 때까지 생존했으며, 발열 기간이 더 짧았습니다(1–8일)(그림 5(b)). 대조군에서 새끼 돼지는 뚜렷한 임상 증상을 보이지 않았고 연구 기간 동안 생존했습니다(그림 5(b, c)).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10


그림 5(b) DLF, DLW 및 HuN4로 도전 후 직장 온도 추세.

그림 5(c) DLF, DLW 및 HuN4로 도전 후 생존율.

새끼 돼지 체중은 0, 7, 14 및 21 dpi에 측정되었습니다. 통계 분석 결과, DLF 도전군의 새끼 돼지의 평균 일일 체중 증가량(ADG)은 1~7 dpi, 8~14 dpi 및 15~21 dpi에서 비감염 새끼 돼지보다 유의하게 낮았습니다(그림 5(d)). 비감염 새끼 돼지에 비해, HuN4 도전군의 새끼 돼지의 ADG는 8~14 dpi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DLW 도전군의 새끼 돼지의 ADG는 8~14 dpi 및 15~21 dpi에서 유의하게 낮았습니다(그림 5(d)).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11


그림 5(d) DLF, DLW 및 HuN4 도전군에서 평균 일일 체중 증가량 변화

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오차 막대)로 표시됩니다. :p<0.05; :p<0.01; :p<0.001; ****:p<0.0001; ns: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 PRRSV 특이 항체의 동적 변화
모든 돼지에서 0, 3, 5, 7, 10, 14 및 21 dpi에 혈액 샘플을 채취했으며, 상용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PRRSV N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검출했습니다. 결과에 따르면, PRRSV 특이 항체(S/P 비율 ≥ 0.4)는 10 dpi에 DLF 및 HuN4 도전군에서 새끼 돼지에서 검출되었습니다. 14 dpi까지, DLW 도전군의 5마리 새끼 돼지 모두 항체 양성이었습니다(S/P 비율 ≥ 0.4). 도전군의 S/P 비율은 실험이 끝날 때까지 계속 증가했으며, 비도전군에서는 실험 기간 동안 PRRSV 특이 항체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그림 5(e)).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12


그림 5(e) DLF, DLW 및 HuN4로 도전하여 유도된 항PRRSV 항체 역가의 변화.

# 다양한 조직에서 바이러스 혈증 및 바이러스 부하 평가

RT-qPCR을 사용하여 혈청 샘플 및 부검 시 얻은 10개의 조직에서 0, 3, 5, 7, 10, 14 및 21일째에 바이러스 부하 분포를 분석했습니다. 결과에 따르면, 도전군에서 바이러스 혈증 수준은 도전 후 3일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DLF 및 DLW 군에서는 도전 후 5일째에, HuN4 군에서는 7일째에 최고조에 달했습니다(그림 5(f)). 이후 바이러스 부하는 점차 감소했습니다. 바이러스 혈증 수준의 유의미한 차이는 도전 후 7일과 10일 사이에 관찰되었습니다(그림 5(f)). 대조군에서는 전체 도전 기간 동안 바이러스 혈증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동일한 조직에서 바이러스 부하의 차이가 도전군 간에 관찰되었지만,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습니다(그림 5(g)). ORF7 유전자 시퀀싱은 샘플에 원래의 도전 균주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13


그림 5(f) DLF, DLW 및 HuN4 도전으로 유도된 바이러스 혈증의 동적 변화

그림 5(g) DLF, DLW 및 HuN4 도전군의 다양한 조직에서 바이러스 부하 분석

#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병변
모든 HuN4 감염 새끼 돼지는 심각한 흉선 위축을 보였습니다(그림 6(a)). DLF 도전군에서 4마리의 새끼 돼지는 유의미한 흉선 위축을 보였고, DLW 도전군에서는 흉선 위축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그림 6(b, c)).
HuN4 도전군에서 5마리의 돼지 모두 폐 경화(그림 6(e))를 보였으며, 그 중 4마리는 하악 림프절 출혈(그림 6(m))을 보였습니다. DLF 도전군에서 5마리의 돼지 중 3마리는 폐 경화(그림 6(f))를 보였고, 3마리는 하악 림프절 출혈(그림 6(n))을 보였습니다. DLW 도전군에서 5마리의 돼지 중 2마리는 폐 경화(그림 6(g))를 보였고, 2마리는 하악 림프절에 경미한 출혈(그림 6(o))을 보였습니다. 비감염 새끼 돼지의 장기 조직에서는 유의미한 병리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그림 6(d, h, p)).

HuN4로 도전된 돼지는 출혈을 동반한 심각한 간질성 폐렴(그림 6(i))을 보였으며, 폐포 중격의 비후와 단핵 세포 침윤이 특징이었습니다. DLF 및 DLW 도전군의 폐에서 현미경적 병변은 유사했지만, 심각도에서 차이가 있었습니다(그림 6(j, k)). DLF 도전군은 광범위한 염증 세포 침윤과 장액 삼출물, 폐포 상피 세포의 괴사 및 탈락, 기관지 상피 세포의 유의미한 괴사 및 탈락을 보였습니다(그림 6(j)). DLW 도전군은 광범위한 염증 세포 침윤과 폐포 중격의 중등도 확장을 보였습니다(그림 6(k)). 또한, 대조군에 비해, 도전군은 하악 림프절에서 다양한 정도의 수질 출혈을 보였으며(그림 6(q-t)), 대조군에서는 이러한 조직에서 병리학적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그림 6(i, t)).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14


그림 6 다양한 도전군에서 육안 및 조직학적 폐 병변

HuN4 또는 DLF로 도전된 새끼 돼지는 다양한 정도의 흉선 위축을 나타냈습니다(a, b). 대조군에 비해, HuN4 및 DLF 감염군은 폐 경화(e, f) 및 림프절 출혈(i, j)을 동반한 심각한 간질성 폐렴을 보였고, DLW 감염군은 폐 경화(g) 및 림프절 출혈(o)을 동반한 경미한 간질성 폐렴을 보였습니다. 도전군의 폐 조직은 광범위한 염증 세포 침윤, 폐포 상피 과형성 및 폐포 중격의 확장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정도의 간질성 폐렴을 나타냈습니다(i-k). 또한, 하악 림프절에서 수질 출혈이 관찰되었습니다(q-t),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r).

결론

L8.7 계통은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PRRSV 계통이며, 25년 이상 순환해 왔습니다. 2006년, 고전 PRRSV에서 파생된 HP-PRRSV 균주는 고열, 이환율, 사망률을 특징으로 하는 중국에서 유행을 일으켰습니다. 이후 이 균주는 중국과 아시아 전역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었고, 상당한 돌연변이를 겪었습니다. 특히, HP-PRRSV와 그 변종은 중국에서 지배적인 균주가 되었지만, 새로운 L8.7 PRRSV의 역학적 패턴, 분자 진화 및 병원성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합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8.7 PRRSV에 초점을 맞추고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L8.7 균주는 주로 병원성에 초점을 맞춰 왔으며, 특히 L8.7.3 균주(HP-PRRSV)에 의한 2006년 발병 이후 더욱 그러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8.7 계통 내에서 가장 지배적인 HP-PRRSV 유사 균주(L8.7.5: DLF; L8.7.6: DLW)를 분리하고 병원성을 평가했습니다. 결과에 따르면, HP-유사 PRRSV(DLF 및 DLW)의 독성은 HP-PRRSV(HuN4)에 비해 감소했지만(새끼 돼지 생존율 증가, 일일 체중 증가량 증가, 발열 온도 및 기간 감소, 흉선 위축의 차이로 입증됨), 여전히 상당한 병원성을 유지했습니다. 본 연구에서 독성은 7일 및 10일(dpi)에 도전된 새끼 돼지에서 혈청 바이러스 부하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다른 시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생존율, 발열 온도 및 기간, 흉선 위축은 새끼 돼지에서 PRRSV 병원성의 중요한 지표입니다.

2016년에 L1 계통 PRRSV가 중국에서 유행하게 되면서, 재조합 균주에 대한 보고가 증가했습니다. 중국에서 지배적인 재조합 패턴은 L1(L1.5 또는 L1.8)과 L8.7 또는 L8.7과 L1(L1.5 또는 L1.8)입니다. 본 연구에서 DLW는 L8.7과 L1.8의 재조합 균주였으며(재조합 패턴: L8.7+L1.8), 병원성은 HuN4 및 DLF보다 낮았습니다. DLW가 새끼 돼지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병원성을 보였지만, 감소된 독성과 재조합 이벤트 간의 관계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L8.7.1 균주(저병원성) 및 L8.7.2 균주(저병원성)를 제외하고, L8.7.3 균주는 새끼 돼지에서 고병원성이었습니다. 이전에 보고된 L8.7.5 균주(2006) 및 L8.7.6 균주(2017)에 대한 병원성 실험과 결합하여, HP-유사 PRRSV(L8.7.4–8.7.7)는 높은 독성을 유지하면서도 L8.7.3 균주에 비해 새끼 돼지에서 병원성이 감소했습니다(그림 2 참조).


에 대한 최신 회사 뉴스 최신 연구 | 고병원성 돼지 생식기 및 호흡기 증후군의 유전학 및 병원성 진화  15


그림 2 PRRSV L8.7.1-L8.7.7의 병원성 비교 분석

# 고찰 관점

1. 병원성 진화의 임상적 의미

동물 실험 결과, HP-유사 균주(DLW/L8.7.6 등)는 고전 HP-PRRSV(HuN4)보다 사망률이 낮지만, 지속적인 고열(>41°C), 성장 억제 및 림프절 바이러스 부하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부 사례에서 급성 사망을 경험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인 호흡기 증상과 이차 감염이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HP-유사 균주를 저병원성 균주로 오분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진단 시 ORF5 시퀀싱 및 조직병리학적 분석을 병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2. 예방 및 관리 전략의 최적화

바이러스 전파의 "반중력 효과"(대규모 양돈장의 생물 안전 조치로 감염 위험 감소)를 고려할 때, 중소규모 농장이 예방 및 관리의 초점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돼지 무리 내에서 L8.7.6 균주의 급속한 확산을 위해서는 업그레이드된 폐쇄 루프 관리 및 강화된 검사가 필요합니다.




선술집 시간 : 2025-08-14 10:57:31 >> 뉴스 명부
연락처 세부 사항
PICOUNI (Chengdu) Biological Products Co., Ltd.

담당자: Mr. Huang Jingtai

전화 번호: 17743230916

회사에 직접 문의 보내기 (0 / 3000)